2020년 초복 중복 말복, 삼복의 유래와 풍습

반응형

2020년 초복 중복 말복

삼복은 일년중 가장 더운 기간을 일컫는 말인데요.

삼복은 7,8월 중에 있는 세 번의 절기로 약 10일 간격으로 있는 초복, 중복, 말복을 의미합니다.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번째 경일, 중복은 네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로부터 첫 번째 경일입니다.
하지는 언제고 경일은 뭐지? 라고 생각하면 복잡하니까 바로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0년 초복은 7월 16일, 중복은 7월 26일, 말복은 8월 15일 입니다.

2020년 초복 중복 말복

 

옛 선인들은 복날이 되면 '복달임'이라하여 시원한 강과 계곡으로 놀이를 갔는데요. 

이열치열이라하여 닭이나 개장국을 먹은 후 후식으로는 이냉치열이라 하여 참외나 수박같은 시원한 과일을 먹었다고 합니다.

삼복 음식 삼계탕

그렇다면 삼복은 어떻게 유래된 것이고 조상들은 더위를 피하기 위해 어떠한 풍습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삼복의 유래

 

삼복에서 복은 사람인 개견자가 합쳐진 것으로 너무 더워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지낸다는 뜻이라 합니다. 

엎드릴 복

초복 중복 말복 이렇게 복날이 되면 삼계탕 등을 먹으면서 몸보신 한다고 하죠.

그렇다면 어떻게 이 삼복이 생기게 된 걸 까요?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이를 삼복더위라 하는데요
복은 원래 중국의 속설로 진,한에서 그 유래를 찾습니다.

조선 후기 간행된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사기에 이르기를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사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를 방지하였다." 라는 내용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삼복의 유래

즉  중국에서는 인간을 괴롭히는 벌레들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행위로 개를 잡았고 삼복일을 그 날로 정해 액운을 막은 겁니다. 

삼복 풍습

삼복의 풍습

조선 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뜻을 담아 삼복이 되면 높은 벼슬아치 들에게 빙표를 줬는데요, 당시에는 빙표를 들고 장빙고에 가면 얼음을 타 갈수 있었습니다.

또한 삼복에 비가 오면 삼복비라고 일컫는데 남쪽 지방에서는 "초복날 소나기는 한 고방(곳간)에 구술 보다 낫다" 라며 삼복비를 반기는 뜻의 속담을 전하는가 하면,  북쪽 지방에서는 대추 팔아 결혼자금 마련 하려던 처자가 삼복비를 맞으며 운다는 속담이 전해 내려온다고 합니다.

 

 

이는 남쪽에서는 주로 벼와 곡류가 재배되어 더운날 내리는 비가 풍년을 의미하지만 북쪽 지방에서는 과일과 대추를 주로 재배해 삼복비를 먹으면 배추가 잘 자라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 말이라고 합니다.
오늘날엔 복날이면 삼계탕집이 인산인해를 이루는 데요, 이는 동의보감에 "닭고기는 오장을 안정시키고 여름철 몸에 저항력을 키워준다."라는 말이 실리면서 복날의 중요 음식이 됐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복날 많이 찾는 음식이 된거죠.

 

이제 곧 복날이 찾아오는데요. 삼계탕집이 북적북적하겠네요. 복날 가시지 마시고 미리미리 가셔서 원기충전하세요^^

https://youtu.be/W0TqOF0AOSU

반응형